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사회 경제 분석

(36)
금융권 종류 1. 은행 2. 보험사 3. 금융투자회사(자산운용사, 증권사, 투자신탁회사 등) 4. 금융지주회사 영업을 따로 하지않고 자회사 지분관리 또는 경영전략, 인력관리 등에 집중하고 계열사들의 배당금이 모기업으로 가는 구조, 각 계열사들의 헤드쿼터기 때문에 인재 중의 인재만 모인다는.. 5. 여신전문금융회사(캐피탈, 신용카드사) 은행이 수신과 여신 즉, 고객으로부터 돈을 받기도, 빌려주기도 한다면 여신전문금융회사는 빌려주기만 하는 회사로 2금융권으로 구분됨, 주로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지 못하는 개인 고객 또는 설비리스, 자동차리스, 할부 등을 중소기업에 제공하기도 한다. 6. 신용평가사 기업이 자금 조달 시 일반적으로 채권을 발행하는데 이때 금리를 얼마로 결정하는지는 각 기업 신용등급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셰일 혁명과 석유 패권 그리고 국제 경제 미국은 세계 원유의 1/4을 소비하는 국가다. 물론 그만큼 생산 능력도 있지만 지금까지는 중동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석유를 수입하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안보(동맹, 무기 판매)를 책임져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역학 관계는 셰일 혁명으로 인해 아예 뒤바뀌어버렸다. 셰일 가스는 쉽게 말하면 셰일 층에 있는 가스를 채굴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단단한 셰일 층을 부수고 가스와 원유를 생산하는 방식이 오히려 채산성이 낮아서 선호하지 않았는데 수압파쇄법을 발견해 셰일 층에 있는 가스와 원유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수압파쇄법은 물을 모래와 특수 화학물질과 함께 매우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여 가스와 원유를 채굴하는 방식이다. 결과부터 말하자면 셰일가스 유전마저도 다량 보유하고 있던 미국은 단숨에 세계 1위 산유국이 되어..
앵글로색슨 족과 슬라브 족 간의 대결 https://www.koreahiti.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78 러·우 전쟁은 슬라브, 앵글로색슨족 간 전쟁 - 코리아 히스토리 타임스 글: 공관(북동중앙아시안연대 중앙위 의장) 필란드와 스웨덴의 중립화 포기가 가져올 후과러 우 전쟁은 미국 때문에 쉽게 끝나지 않을 듯우크라이나 지원위해 무기대여법 통과 앞둔 미국러시아 www.koreahiti.com 앵글로색슨 족과 슬라브 족 간의 대결, 최근에 읽은 글 중 먼가 가장 인상깊은 통찰인 것 같다. 조지 프리드먼의 “발트 3국과 폴란드에 집중하게 함으로써 전 세계적인 전략을 생각하지 못하게 해 큰 전쟁을 피하는 데 주력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미국은 발트 3국과 폴란드에 기술을 이전해 군사력을 증강시킴으로써 그들이 러..
외교관 후보자님과의 Q&A 정말 우연히 좋은 기회로 외교관후보자선발시험에서 합격하고 연수받고 계시는, 정확히 말하면 외교관 후보자 님과의 대화 기회를 가지게 됐다. 개인적으로 궁금했던 것도 많았고 공유하면 좋을 내용인 것 같아 공유해보려고 한다. 개인 정보가 유추될 만한 부분은 제외했다. Q1. 영어를 잘 못하는데 가능? A1. 너무 못하는게 아닌 이상 입부 과정에서 영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음(진입요건인 토익 870이상, 3차 영어면접, 2차 통합논술 속 영어지문 등). 물론 들어와서 공부해야하고 거의 평생 해야한다고 생각하면 됨. 국립외교원에서 잘 배울 수 있음. 그리고 외교부의 대부분의 업무는 당연히 한국말로 진행됨. 해외 인사와 접촉하는 몇몇 상황에서 쓰는 거임. Q2. 언제 진입 추천? 어떤걸 중심으로 공부해야함? ..
원유를 위안화로 결제하려는 사우디, 그걸 바라보는 미국 https://www.youtube.com/watch?v=axgsx2OPOY4&t=22s 전인구경제연구소 유튜브 채널의 '원유를 위안화로 결제하면 어떻게 될까?'라는 동영상이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국은 무역적자보면서 타국에 달러 유동성 공급하면서 기축통화의 지위를 유지해옴 2. 사우디는 원유를 달러로만 거래하게되면서 달러 일부를 미국 재무부에 예치 후 안보 보장받으며 트리핀의 딜레마 해결 3. 원래는 미국이 아시아의 물건을 구입하면서 달러를, 아시아가 중동으로부터 원유를 사면서 달러를, 중동이 미국으로부터 무기를 사며 달러를 쓰면서 순환하는 시스템 4. 셰일오일이 나오면서 이 역학관계가 깨짐 아시아가 중동이 아닌 미국으로부터 원유를 받아오게 되면 중국이 아시아와 중동으로부터 달러를 연결시켜주..
중국 - 대만을 바라보는 임용한 박사님 그리고 나의 생각 https://www.youtube.com/watch?v=G54bdX8kfio 일단 임용한 박사님의 의견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국의 경제 불만 및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전쟁을 벌이는 것은 말도 안된다. 2. 에너지와 식량이 자급자족이 안되는 국가인 중국이 전쟁을 벌이기 위한 준비가 어려울 것이다. (특히 러우전쟁만 봐도 포탄 하루 사용량을 생각해보면 타 국가 도움 없이 한 달 이상 전쟁하기 어려움) 3. 전쟁을 통해 경제와 권력이 강화되는게 사실 균열이 일어나는 것이고 경제와 권력이 강화되어야 전쟁할 수 있다. (중국은 분열의 요소가 러시아보다 훨씬 많아서 전쟁을 벌어기 더 어려울 것) 4. 중국은 미국의 권력을 노리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협력을 더 하고 싶어하는데 서로 간 의견 격차가 있는 것..
북한을 향한 4가지 공격 옵션 그리고 양안전쟁과 한국전쟁 https://www.eai.or.kr/new/ko/etc/search_view.asp?intSeq=22081&board=kor_multimedia EAI 동아시아연구원 www.eai.or.kr 동아시아 연구원의 박원곤 소장님의 유튜브를 인용했다. 북한은 한미 연합 훈련만 하면 북침 책동이다, 북한 침략을 준비하는 훈련이다 등 난리치며 반응한다. 일단 팩트만 놓고 보면 무조건 아니다. 왜냐하면 모든 훈련의 기반이 북한이 선제 공격할 시를 가정하고 수비 및 반격을 중심으로 훈련이 구성돼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미가 선택할 수 있는 공격 옵션은 무엇이 있을까? 1. 선제공격 선제 공격이란 북한이 장사정포를 전진배치한다거나 핵무기를 사용할 조짐이 보여 전쟁을 시작하려고 판단될 시 먼저 공격하게 되는 시나리오..
러시아 에너지 기업을 알아보자 1990년대 초 옐친 집권 당시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넘어가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에너지 기업들을 민영화하려는 추세였다. 원래 소비에트 연방 석유가스부의 후신인 로스네프트는 100% 국영기업이었는데 시장경제가 도입되며 민영화된 회사들 가운데 경쟁력을 잃으며 4%밖에 안되는 초라한 점유율을 가지고 있었다. 허나 푸틴이 집권하며 에너지 기업을 국영화해 관련 사업을 국가 외교적 사업으로 전환하였다. 이고르 세친은 정치경제 엘리트집 단인 실로비키의 대표적 인물이었고 러시아 정부는 규모는 작지만 정부가 확실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국영석유회사 로스네프트를 정부에 반항적인 민간석유회사인 유코스를 대신하여 세계적인 정유회사로 만들기로 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04년 유코스의 최대 자산이었던 유간스크네프테가스, 200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