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먈 프로젝트
야말 프로젝트는 약 억 의 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북극해 연안 야말 9,260 ㎥ 반도 의 유즈노 탐베이 가스전 (Yamal Peninsula) - (Yuzhno-Tambeyskoye gas field) 개발을 전제로 야말 플랜트와 수송선 선적을 위한 사베타 LNG LNG (Sabetta)항을 건설하여 아태지역과 유럽 시장에 가스와 콘덴세이트를 수출하고 있다.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러시아 정부의 많은 세제 혜택과 중국이라는 확실한 구매자를 확보한 것, 해상이 아닌 육상가스전이라 가격이 더 싼 것, 온난화로 인한 해빙으로 북극항로가 더 개발된 것, 경험 많은 개발 경험이 있는 toal의 기술과 역량을 잘 이용한 것 등이 있다
shtokman lng, baltic lng-gazprom, yamal lng-novatek, pechora lng-rosneft, arctic lng-novatek, far eastern lng-rosneft, exonnobil, sakhalin 2-gazprom, shell, vladivostok lng-gazprom, 오브스키 lng 프로젝트
러시아의 북극항로 개발 되짚어 보기
AIF
www.emerics.org:446
러시아 북극 천연가스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 원인: 해외 에너지 기업의 관점에서 야말 프
이 연구의 목적은 해외 에너지 기업의 관점에서 러시아 북극 천연가스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 원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야말 프로젝트는 투자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분을 보유한 Total, CN
www.kci.go.kr
한국이 어떠한 이득을 볼 수 있는지
1. 단가가 낮다. png를 수입하는 것이 현 방식인 lng 수입보다 단가가 쌀 수 밖에 없다. 한국가스공사에서는 장기적으로 계산해볼때 lng 수입보다 해당 방식이 2/3 수준으로 싸다고 주장한다.
2. 꾸준한 에너지원이 되어줄 가능성이 크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과 달리 러시아는 세계 최고의 에너지 강국이라 불려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정치외교적 관계만 유지한다면 꾸준한 에너지 수급원으로서 손색이 없다.
3. 북한과의 관계 개선 가능성. 일단 왼쪽의 경우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한을 통해 한국으로 이어지는 경우이다. 실현 가능성을 배제하고 생각해봤을 때, 만일 해당 사업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당연히 북한 측과 긴밀한 대화와 합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에너지 협력을 시작으로 대화의 장이 커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크게 실현 어려운 방안이라고 본다. 북한이 동의할리도 없고 하더라도 이를 인질 삼아 협박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정책과 한러 에너지 협력 방안' 논문 참조
https://www.news1.kr/articles/?4705688
"아시아에 팔면 된다"…러, 연해주 항구서 원유 수출량 늘려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러시아가 유럽연합(EU)의 원유 금수 조치를 상쇄하고 아시아 판로를 뚫기 위해 동부 연해주 코즈미노항에서 석유 수출을 20% 가량 늘리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7일&...
www.news1.kr
KOTRA 해외시장뉴스
메인
dream.kotra.or.kr
또한 동시베리아 태평양 원유 파이프라인을 뜻하는 ESPO 프로젝트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실 2010년 즈음부터 완공해 이미 판매를 시작한 적이 있고 한국의 GS 칼텍스가 처음으로 러시아 원유를 구입한 적이 있는 루트이다. 두바이유가 20일 정도 걸리고 배럴당 2달러의 운송료가 드는 반면, ESPO유는 3, 5일이면 선박이 도착하고 50센트의 운송료 밖에 들지 않는다고 한다. 러시아와의 관계가 개선된다면 북극 항로만큼이나 관심 가지고 바라봐야할 사업이라고 생각한다.
'사회 경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을 향한 4가지 공격 옵션 그리고 양안전쟁과 한국전쟁 (2) | 2023.09.12 |
---|---|
러시아 에너지 기업을 알아보자 (0) | 2023.08.25 |
러-우 전쟁은 무엇을 향해 달려가고 있을까 (0) | 2023.08.11 |
윤 정부의 나토 & 유럽 노선... 이유는? (0) | 2023.08.10 |
한국 UAV 현 위치는..? (0) | 2023.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