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경제 분석

내가 기억하려고 쓰는 ESG (2)

728x90
반응형

ESG 경영이란 재무적 요인 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요인인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함께 고려하는 것

OECD 다국적 기업 가이드라인 1976
: 기업활동에 대한 최초의 글로벌 가이드 라인

르네 파세의 생태경제학 동심원 모델 > 경제는 사회 안에 사회는 환경 안에 있기에 경제가 안정적이려면 사회와 환경을 파괴해선 안됨

우리공동의미래(브룬툴란 보고서) 1987
: UN세계환경개발위원회에서 발간한 것으로 인류 모두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해야함을 주장, 지속가능발전 용어 최초 제시

존 엘킹턴의 TBL 트리플 바텀라인 > 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 위해 경제 사회 환경 모두 균형적으로 추구해야함, 그는 그린 스완의 저자


새천년개발목표 MDGs 2000
: 8개 실행목표 21개 지표

이를 위해 유엔글로벌컴팩트UNGC 2000 가 기업의 역할 10대 원칙 제시

UN 지속가능발전 세계정상회의 WSSD 2002
: 리우 환경개발회의를 승계, 당시 채택된 AGENDA 21 점검 후 모색 > 요하네스버그 선언(모든 개발은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해야함)

WHO CARES WINS 2004 보고서에서 UN사무총장 코피 아난 주도로 보고서 작성
> ESG 용어 최초 등장 > 이를 UNGC에서 공식 용어로 사용

2006 UN PRI 책임투자원칙 제정 > ESG 확산의 기폭제
:금융기관을 위한 책임 투자 원칙


ISO 26000 2010
-사회적 책임의 국제표준, ESG 실행 가이드라인임
-특징: 유연성 비구속성 보편성 평등성
-한계: 포괄적이고 구속력 X, 검증 어려움, 통일된 기준이 없음, 타 가이드라인에 비해 차별화 없음

UN SDGs 2015
-MDGs가 종료되는 15년 이후로 30년까지 시행할 목표
-목표 확대 및 선진국까지 대상 확대

EU 비재무 정보공개지침 NFRD 2014
-최초의 기업 비재무 정보 공개 의무화 지침
-공개정보: 환경, 사회, 노동권, 인권, 반부패/뇌물, 이사회
-단점: 표준화된 공시 기준 부재로 기업간 정보 비교 어려움 > CSRD로 대체

기업의목적확대선언 2019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 BRT 선언
-기존 기업의 목적이 주주이익 극대화 > 기업은 이해관계자 모두 만족시켜야한다

ESG 실행단계
무지 - 인식 - 진단및개선 - 전환선언 - 내재화 - 가치사슬혁신 - BEYOND ESG

무지단계
-ESG 잘한다고 매출과 성장에 도움되나? 잘번다는 보장 없지만 안하면 성장이 제한적임
-ESG를 단편적인 부분으로 해석, 무지 단계의 기업들은 워싱에 잘 빠짐

워싱은 눈속임, 홍보팀에서만 ESG를 취급하고 브랜드마케팅 수단으로 이용함

테라초이스(캐나다의 친환경 컨설팅 사)의 7대 그린워싱의 죄
1. 상충효과 감추기
2. 증거 불충분
3. 의미가 불분명한 주장
4. 관련성 없는 주장
5. 유해 상품 정당화
6. 인증마크 도용
7. 위장 인증 이미지


1단계 인식단계
-지속가능성에 대한 불안
-경제가 발전해도 환경오염, 자원 고갈로 인한 비용, 자연재해 복구비용 등 증가
-ESG가 광고나 브랜드용이 아님을 깨달음
-거래 환경의 변화 B TO G / B TO B / B TO C

B TO G(공공조달)
:EU의 겨우 CSRD ESRS 등의 기준 충족, 우리나라의 경우 조달법 등 충족해야함

B TO B
EU: CSRD, ESRS 충족, 미국 RE100, SCOPE 1 2 GHG 배출량 정보 요구
우리나라: 수출기업 중심으로 ESG 요소 계약서에 반영

B TO C
EU/미국: 개인 소비자 ESG 관련 손해배상 청구 증가
우리나라: 가치소비 증가, 불매운동

21세기 되면서 기업전략에서 평판의 중요성 확대
인식단계에서 유의사항
1. 내부 학습 없이 컨설팅 받기
2. 단편적인 내용 위주 학습
3. 가이드 오류


2단계 진단 및 개선
-ESG 가이드라인에 따른 현황 진단, 개선 목표 수립
-1단계의 전체구성원의 인식과 학습 없이 바로 2단계 실행은 어려움

3단계 전환 선언
-ESG 경영의 목표 및 전략을 통합, 경제적 수익과 ESG 동시 실현
-ex) 덴마크 화력발전회사 오스테드 > 풍력 에너지 회사로 거듭남

4단계 내재화
-실제 업무현장에서 실현되는 단계
-기업운영과 기업구성원 전체의 가치관을 esg 경영의 개념과 일치시키는 단계

5단계 가치사슬 혁신
-우리회사만 잘하는게 아니라 공급망 전체에 esg 확산
-eu 공급망 실사지침 법제화
유의사항
-납품 단계에 esg 비용 포함, 하청업체에 esg 경영 강요하면서 원가 절감 요구 x
-esg 갑질 금지, 공동거버넌스 협력체계 갖출것

Beyond ESG
-돈이 아닌 고객의 삶을 개선, 투자의 목적이 이익극대화가 아니라 세상을 바꾸는 것


평균 기온 1도 상승시 전세계 농업 수확량 10퍼가 감소
산불, 화재 증가, 동토층 해빙으로 인한 바이러스 유출 우려
가뭄과 바다의 사막화 등 다양한 피해 우려
경제적 손실, 기후분쟁 발생

97년 교토 의정서에서 6대 온실가스 정함
: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과불화탄소, 수소불화탄소, 육불화황


Scope 1,2,3: GHG프로토콜(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과 보고에 관한 이니셔티브)에서 설정한 3개 범위

scope 1: 직접 배출원
scope 2: 간접 배출원(외부에서 구입해 쓰는 전기, 스팀 열 등)
scope 3 scope 2 외에 모든 간접 배출원 (하청 생산, 프랜차이즈, 다른 조직에 의한 수송 폐기, 출퇴근 등)

넷제로
-파리기후협약15에서 1.5c 목표와 넷제로 개념이 최초로 제시
-ipcc 48차 인천18: 파리기후협약에서 나온 1.5c의 과학적 근거 마련, 해당 보고서에서 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 절반 감축, 50년까지 넷제로 달성

과학기반온실가스감축목표이니셔티브 SBTi 2015
: 기업금융기관의 과학기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
-파리기후협약 달성위해 설립,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평가하는 세계 최초의 과학기반 표준이자 세계 최대검증기관
-가입 기업은 2년 내에 단기 및 장기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를 설정 공개해야함

온실가스 배출원 중 '조직이 소유 또는 관리하고 있는 석유화학 공정'은 scope 어디에 해당?
: scope 1
온실가스 배출원 중 '외부 발전소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는 scope 어디에 해당?
: scope 2
온실가스 배출원 중 '다른 조직에 의한 자사 제품의 수송'은 scope 어디에 해당?
: scope 3


친환경에너지: 석탄 석유 천연가스 원자력 등과 다르게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고갈되지 않는 자연적인 에너지
대체에너지: 전기 동력 열 등을 생산하는데 있어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수단과 방법의 총칭
청정에너지: 석탄, 석유 등과 다르게 온실가스 배출을 일으키지 않는 신재생, 원자력 등의 에너지
신에너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수소 산소등의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 또는 열을 이용하는 에너지
ex) 수소, 연료전지, 석탄을 액화,가스화한 에너지 및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에너지
재생에너지: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한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eu택소노미에는 원자력이 조건부 포함, re100에는 미포함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8.1%, 산유국 제외하면 거의 꼴찌 수준
현 우리나라 정책은 원자력 에너지 비중 높이며 재생에너지만을 인정하는 re100보다 원자력이 포함된 cf100 우선 추진



RE100이란? by The Climate Group과 CDP 주도로 2014 시작
:renewable electricity 100프로의 약자로 기업활동에 필요한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한 전기로 사용하겠다는
기업들의 자발적 캠페인이자 글로벌 이니셔티브
> 참여기업들은 50년까지 100%달성을 목표로, 30년 60퍼 40년에 90퍼 권고

지속가능한 수력은 발전소 건설 과정에서 주변 환경 훼손하지 않은 경우만 인정됨

RE100 미준수시
> 투자, 금융거래에서 불리
>수출 거래 불리
>탄소세, CBAM

한국기업의 RE100 이행수단: K-RE100
1. 녹색프리미엄제 - 돈주고 한전에 인증서 구매, 가장 간단한 방법
2. REC - 얘도 인증서인데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서 신재생 에너지 발생시 REC 부여, 전기소비자에게 팔수있음
3. 제3자 PPA - 한전 매개로 재생에너지 전력 생산자와 구매자 연결
4. 직접 PPA - 한전 매개 X 직접 공급받음
5. 지분투자 - 발전사업에 일부 투자하고 REC 또는 PPA 거래, 원하는 단가 기간으로 계약 가능
6. 자체건설 - 직접 설치 후 사용

REC는 인증서, 환경 가치만을 거래 BUT PPA는 전력 자체를 거래

CF100이란?
: 글로벌 이니셔티브 24/7 CFE Compact를 준용한 한국의 무탄소 캠페인
24/7 CFE Compact는 연중무휴 실시간 무탄소 에너지로 공급되는 것과 원전 포함이 특징
이를 충족한 사례가 없어 굉장히 어려움
타 재생에너지 확대 없이 원전만 확대하며 re100 보다 cf100을 노리는 것은 어불성설이란 평가 많음

해외에서 폭넓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