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발전은 아래 내용을 수반해야 함
1.사회적 진보
2. 경제의 지속가능성
3. 환경과 기후의 지속가능성: 온실가스 에너지
산타바바라 유정 유출1969 충격 > 지구의날 선언 1970.4.22 > 지구의날 집회 영향으로 미국환경보호국EPA 창설
EPA미국환경보호국1970 > 기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도입
그린피스 1971 결성 > 밴쿠버 12명의 사회환경운동가 결성, 대기업들의 지속가능경영 촉발
로마클럽(환경문제연구소)가 발간한 보고서 '성장의한계'1972 > 인류 소멸의 길 예측 > UNEP 설립1972
> 스톡홀름 선언 / 현 세대와 미래세대를 위해 환경 보호해야한다
1989 엑손 발데즈호 원유 유출 > CERES 출범, 10대원칙 > CERES와 UNEP 중심 되어 GRI 1997(지속가능경영글로벌가이드라인) 설립
이니셔티브란 : 일정한 미션과 비전을 이루기 위한 행동강령이나 가이드라인 형태의 자율 규범
ESG 이니셔티브는 공시 방법에 따라 STANDARD와 FRAMEWORK으로 구분
STANDARD: 각 공시 주제별로 요구되는 구체적인 세부주제, 항목별 지표, 지표의 단위 등을 제시하는 가이던스
FRAMEWORK: 공시의 주제와 범위에 대한 원칙을 제시하는 가이던스
환경과개발에관한유엔회의1992 IN 브라질 리우
해당 리우 회의 결과 1. 리우선언 2. AGENDA 21(지구환경보전 행동계획) 3. 세계 3대환경 협약 발표
(1. 기후변화협약 2. 생물다양성협약 3. 사막화 방지협약)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COP 1995
ㄴ 기후변화협약 당사국들의 실무 회의
1995 베를린 제1차 COP
1997 교토 COP 3에서 교토 의정서 발표
2015 파리 COP21에서 파리 기후협약
2023 UAE에서 COP28 개최 > 2030까지 재생에너지 3배 늘리자
생태 발자국 지수1996
: 인간이 지구에서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의식주, 에너지, 시설 등의 생산과 오염물질 처리에 드는 비용을 토지로 환산한 지수
교토 의정서 COP3 1997
: (1) 6종류의 온실가스 정의(직접 온실가스) 및 감축 목표 명문화(1990년 대비 12년까지 5.2퍼 감축 미준수시 비관세 장벽 적용)
(2)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ETS 도입
BUT 절반의 실패로 평가
최대배출국인 미국의 탈퇴, 개발도상국이란 명목으로 중국과 인도는 가입 X 이로인해 캐나다 일본 러시아 등 탈퇴
파리기후협약 COP21 2015
: 교토의정서와 달리 종료 기한 X, 감축의무 부담 국가 40 > 195개국으로 확대
핵심사항
-1.5도 넘지 않도록 노력, 2도 아래로 억제
-온실가스 넷제로 달성
녹색금융협의체 NGFS 2017
-녹색금융 촉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자발적 논의체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가입 중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를 금융안전성 모니터링 및 미시적 감독에 반영, 체계적이고 통일된 정보공시체제 구축 등으로 권고
EU그린딜선언 2019
-50년까지 에너지 생산의 50퍼를 신재생에너지로
-50년까지 30퍼 이상 에너지 효율적으로 개조 또는 신축
-50년까지 교통수단의 온실가스 90퍼 감축
EU 택소노미2020
: 택소노미의 뜻은 분류체계
: 즉 어떤 산업이 친환경인지 아닌지 분류하는 체계 > 친환경 투자에 대한 지침서로 활용(파리기후협약-EU그린딜 달성 우해서 그리고 그린워싱 방지)
결국 원전과 천연가스 포함됨 BUT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리장 가추고, 사고저항성핵연료 사용할 것을 전제로
기후정상회의 2021 > 대한민국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NDC 발표 2021, 30년까지 18년 대비 40퍼 감축
EU FIT FOR 55 2021
: 탄소 감축 입법안 패키지 30년까지 55퍼 감축, 탄소국경세(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국가의 수입품에 관세 부과)
EU탄소국경조정제도CBAM 2023
: 26년부터 유럽에 수출하는 시멘트 전력 비료 철강 알루미늄 수소 등 6개 업종 기업에게 공급망 전체의 탄소배출량 공개 의무화
EU 역내 생산품 대비 초과분에 대해서는 인증서 구매 > 원가 올라가니까 가격 경쟁력 떨어지겟지 (톤당 70-80유로)
이 중 철강이 가장 비중이 커서 영향 많이 받는데 고로말고 전기로 써야 탄소 덜 쓰는데 전기로 가격이 비싸서 문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세 ETS
:97년 교토의정서에서 도입
탄소세는 국내세, 탄소국경세는 일종의 무역관세, 탄소국경제도CBAM은 인증서 구매제도임
1, 2차 세계대전 > UN 설립 1945 > UN인권선언 1948(모든 ESG 글로벌 가이드라인의 기초)
'기업가의 사회적 책임'이란 책에서 하워드 보웬은 기업가의 사회적 책임 강조
밀턴 프리드먼의 신자유주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익증대
요새는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코로나로인한적극적재정확대 등으로 인해 신자유주의의 후퇴라고 볼 수 있음
나이키 아동노동 이슈 1996 > ILO국제노동기구의 4대 기본원칙 제정 배경 > UNGPs 기업과인권이행원칙 제정 2011
UNGPs 기업과인권이행원칙 제정 2011
: 개인의 인권 존중과 보호 그리고 구제에 관해 국가와 기업이 지는 의무와 책임을 규정
pillar 1: 국가의 책임 pillar 2: 기업의 인권침해 방지 책임 pillar 3: 사법적/비사법적 고충 처리
CSR 기업의 사회적 책임
: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함께 고려(TRADE OFF 외부불경제와 반대되는 의미, 환경 오염시키면서 아무 대가 지불X)
CSV 공유가치 창출
: CSR이 단순 비용이었다면 CSV는 기업의 경제적 가치와 사회환경 가치가 공존하는 개념
'사회 경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맘대로 macro 24.10.20 (0) | 2024.10.20 |
---|---|
내가 기억하려고 쓰는 ESG (2) (5) | 2024.10.20 |
삘타서 쓰는 수소 에너지 (1) | 2024.10.20 |
내맘대로 macro 24.10.04 (8) | 2024.10.04 |
내맘대로 macro 24.10.03 (11)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