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이스라엘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하며 국제유가가 3.6퍼센트 상승한 70.62달러를 기록.
이러한 불안정성 때문에 안전 자산인 금 가격이 온스당 2690.3달러로 1.16퍼센트 상승 마감.
그러나 이는 보여주기 식에 불과한 공격이기에 그 변동폭이 크지 않음.
이스라엘이 확전을 원하며 강력한 보복을 하지 않는 이상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임.
또한 미 대선이 코앞이기에 해리스를 밀어줘야하는 현 정부 입장에서 확전을 최대한 막을 것으로 보임.
일단 주요국들이 물가 안정세에 접어든 만큼, 현 시점 변수는 중동 확전 말고 없음.
러우 전쟁도 더이상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기는 힘들어보임.
중동 확전이 일어나 유가가 급등하면 모를까 그 외에는 큰 변수는 없어보임.
10월 금통위에서도 금리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예상됨.
한국의 수출입의 경우, 대미 수출에 비해 대중 수출의 증가세가 증가했음. 중국의 수요 확대가 원인.
품목은 반도체, 선박,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바이오헬스로 집중.
9월 역대 최고의 수출실적을 보였지만 이러한 흐름이 4/4분기에도 이어갈 것으로 전망은 어려움.
글로벌 제조업 회복이 아직 더디기 때문.
석유화학 산업 얘기를 조금 해보고 싶은데, 요새 해당 산업이 어려운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중국의 대규모 생산으로 인한 공급 과잉(20년도 후반대에도 증설 예정)
2. 중국의 경제 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
현 상황에서 유가가 올라도 원가의 상승, 유가가 떨어져도 원재료 투입 시차로 인한 부정적인 래깅효과가 크게 발생해 실적이 악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참 복잡한 상황이다. EU, 미국, 튀르키예, 인도 등 수출 대상국을 확대하고 있으나 중국은 수출의 40프로를 차지하고 있기에 쉽지 않다. 함부로 석유화학 종목은 건들지 말아야지..
'사회 경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맘대로 macro 24.10.04 (8) | 2024.10.04 |
---|---|
내맘대로 macro 24.10.03 (11) | 2024.10.03 |
내맘대로 macro 24.10.01 (4) | 2024.10.01 |
원유 공부하기 (1) (0) | 2024.04.30 |
이란과 이스라엘 분쟁, 5차 중동전쟁으로? (0) | 202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