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경제 분석

아 NAVER 얘를 어찌하오..

728x90
반응형

 

DART에서 가져온 3분기 실적인데

 

1. 판매 수익:
당분기('24년 3분기): 15,480(억원)
전 분기('23년 3분기): 15,170(억원) -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
** 누계('24)** : 44,866(억원)
누계('23) : 41,593(억원) - 7.9% 증가
 분기별 및 누적 수익이 꾸준히 증가,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수요의 증가를 의미함.

2. 영업이익:
당분기('24년 3분기): 4,721(억원)
전 분기('23년 3분기): 4,978(억원) – 5.1% 감소.
누적('24): 13,758(억원)
누계('23) : 12,712(억원) - 8.2% 증가
분석: 분기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1% 감소했으나, 누적 영업이익은 양호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이는 영업 이익률에 단기적인 압박이 있을 수 있지만 올해 전반적인 성과는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

3. 순이익:
당분기('24년 3분기): 5,924(억원)
전 분기('23년 3분기): 5,794(억원) – 2.2% 증가.
** 누계('24)** : 15,805(억원)
누적('23) : 14,588(억원) – 8.3% 증가
분석: 순이익 역시 분기별, 누적별로 모두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분기에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것은 영업 이익 변동에도 불구하고 비용 관리 효율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할 수 있음.

4. 기타 주요 지표:
EPS(주당순이익): 전년 대비 누적 기준 42.1% 증가.
분석: EPS 증가는 회사가 더 높은 주당 수익을 창출하고 잠재적으로 주식을 더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투자자에게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전체 요약 및 권장사항:
매출 흑자 및 순이익 증가: 회사는 누적 기준으로 매출과 순이익 모두 꾸준한 성장을 보여 강력한 수요와 효율적인 비용 관리를 나타냅니다.
단기 영업 마진 압박: 분기별 영업 이익 감소는 단기 마진 압박을 나타낼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지속 가능성을 주시해야 합니다.
주식 추천:
장기 투자자의 경우: 긍정적인 누적 성장 추세를 고려할 때 회사의 펀더멘털이 여전히 강하다면 주식을 보유하거나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기 투자자의 경우: 이번 분기 영업 이익 감소로 인해 향후 분기별 결과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이러한 추세가 계속되는지 평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트 분석을 해보자면


1. 전체적인 추세
하락세: 네이버 주가는 2021년 중반 정점을 찍은 이후 장기간 하락세를 이어왔습니다. 가격은 꾸준히 하락해 2023년 중반까지 고점과 저점이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잠재적 안정: 2023년 중반 이후 주가는 가격변동폭이 적고 상대적으로 수평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견제 국면에서 안정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매도 압력이 잠재적으로 약해지는 기반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2. 이동평균
단기(20일 및 60일 이동평균): 현재 주가는 단기 이동평균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평균은 상대적으로 평평하여 어느 방향으로든 강한 모멘텀이 부족함을 나타냅니다.
장기(120일 이동평균): 장기 이동평균은 여전히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주가를 상회하고 있어 주가가 아직 장기 하락 추세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의미: 탄탄한 상승 추세가 시작되려면 이상적으로는 가격이 120일 이동 평균을 넘어야 하며, 이는 시장 심리가 강세 쪽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3. 지지 및 저항 수준
지지: 차트에는 151,100원 부근의 강력한 지지 수준이 표시되며, 이는 여러 차례 테스트를 거쳤지만 유지되어 구매자가 해당 가격대에 진입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수준은 수요가 강한 지역을 나타내므로 안전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저항: 현재 가격에 가까운 175,000~180,000원 부근에 상당한 저항 수준이 있습니다. 이 범위는 강한 매수세가 없다면 상승세를 가로막는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 볼륨 분석
거래량이 몇 차례 급등한 것은 주식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시기를 나타냅니다. 빨간색 막대의 높은 거래량은 매도 압력이 있는 기간을 나타내며, 이는 더 넓은 시장이나 회사별 뉴스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후 거래량은 감소했으며 이는 통합 단계에 진입하는 재고와 일치합니다. 횡보 중 거래량이 적다는 것은 상승세나 하락세 모두 강력한 통제력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종종 추세 반전이나 돌파에 앞서 발생합니다.
5. 가능한 구매 구역
151,100원에 가까운 지지선: 현재 주가가 강력한 지지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가격이 유지된다면 151,100원 부근에서 매수하면 하락 폭이 제한되며 유리한 진입이 가능합니다. 이 수준은 역사적으로 구매자의 관심을 끌었으며 이 가격 근처로 떨어지면 잠재적인 구매 영역이 됩니다.
18만원 이상 돌파: 또 다른 잠재적 진입점은 높은 거래량과 함께 18만원 저항선 돌파를 기다리는 것입니다. 네이버가 이 수준 이상으로 마감할 수 있다면 다시 강세 모멘텀이 회복되고 추세 반전 가능성이 있어 하락세의 끝이 확인된다는 의미입니다.
6. 권장 구매 전략
지원 시 부분 매수: 지지 영역을 활용하기 위해 151,100원 정도에서 소규모 포지션을 시작하고, 하락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손실을 약간 아래로 설정합니다.
돌파 시 풀 포지션: 거래량이 많아 주가가 180,000원을 돌파할 경우 포지션에 추가합니다. 이는 잠재적인 추세 반전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결론
기술 차트에 따르면 NAVER의 이상적인 구매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원 수준: 약 151,100원(리스크 관리를 위해 바로 아래에 손절매 포함).
돌파 수준: 높은 거래량으로 확인된 경우 180,000원 ​​이상.
이러한 전략은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지원 수준)으로 진입하거나 강세 모멘텀이 확인될 때까지 기다리는 방법(돌파 수준)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기술만으로는 펀더멘털과 시장 심리를 모두 다룰 수 없기 때문에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에 네이버의 전반적인 사업 전망과 업계 전반의 동향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728x90
반응형